728x90
반응형

기초 영어문법 42

불규칙 과거 동사 및 과거 분사 표-(영어 불규칙 동사표, 동사의 3단변화표)

동사는 주어의 뒤에서 주어의 움직임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동사는 문장을 구성하는 필수 구성 요소이면서 시제 표현을 할 수 있는 품사입니다. 동사는 문장의 시제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 지나간 일을 설명하고 역사적인 사실을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과거 시제를 만드는 규칙은 일반동사 원형에 -ed를 붙여주는 것인데요. 이런 규칙을 따르지 않고 형태 변화를 하는 동사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불규칙 동사들의 종류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일하다'라는 동사 work를 과거형으로 만들면 work+ed로 worked가 됩니다. 우리말로 해석하면 '일했다'라는 뜻이 되지요. 그런데 이런 방법으로 과거 동사 형태를 만들지 않고 불규칙으로 변화하는 동사들이 있습니다. 형용사 역할과 수동태를 만들..

기초 영어문법 2022.09.13

명령문과 제안문 그리고 감탄문과 부가의문문

*명령문과 제안문 -명령문은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무엇을 시키거나 행동을 요구하는 문장으로 명령, 금지, 의뢰 등의 의사를 나타냅니다. 상대방 you에게 직접 명령하는 직접 명령문과 1인칭과 3인칭에 명령하는 간접 명령문이 있습니다. 1. 직접 명령문 '~해라'라는 의미의 명령문은 문장 제일 앞을 '동사원형~'으로 시작하는 것으로 주어 you를 생략한 문장입니다. 명령문은 상대방에게 무엇을 하라고 명령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어를 생략하는 것입니다. '~하지 마라'라고 상대방에게 지시나 명령하는 부정의 뜻을 쓴 부정 명령문은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형태는 [Do not(Don't)+동사원형~.]으로 표현합니다. 명령문의 앞이나 뒤에 'Please'를 붙여주면 좀 더 부드럽고..

기초 영어문법 2022.09.06

과거진행형의 의미와 형태 그리고 부정문과 의문문 만들기

*과거 진행형의 의미와 형태 12시제중 하나인 과거 진행형은 과거의 특정 시점에 진행 중이었던 동작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과거 진행형은 현재 진행형과 똑같은데 be동사의 모양을 바꿔줌으로써 시제에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be동사의 과거형(was/were)+동사원형~ing]의 형태로 쓰며, 우리말로는 '~하고 있었다.''~하고 있는 중이었다.'라고 해석합니다. Examples We were doing our homework. 우리는 숙제를 하는 중이었다. He was playing a computer game. 그는 컴퓨터 게임을 하는 중이었다. -12시제중 과거형과 과거 진행형의 차이점 시제를 공부하다보면 비슷한 시제의 차이점이 궁금할 때가 있는데요. 그럴 때는 일단 시제가 정확하게 무엇인지부터 ..

기초 영어문법 2022.09.03

현재진행형의 의미와 형태 그리고 부정과 의문문 만들기

*현재 진행형의 의미와 형태 진행형이란? 12 시제 중 현재 진행 시제는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 또는 과거의 특정 시점에서 진행 중인 동작이나 행동을 나타내는 시제입니다. -현재 진행형의 의미와 형태 현재 진행형은 지금 바로 현재 하고 있는 일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현재 진행형의 공식은 [ be동사+동사원형~ing]의 형태로 쓰며 be동사를 이용해서 시제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로는 '~하고 있다', '~하고 있는 중이다'라고 해석합니다. '지금', '현재'를 나타내는 현재 진행형 시제는 지금을 나타내는 시간 부사 now와 함께 쓰는 경우가 많으며 지금 하고 있는 중이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be동사에서 사용하는 주어와 be를 축약해서 쓰는 형태도 현재 진행형에 적용됩니다. Examples I a..

기초 영어문법 2022.08.31

미래시제 be going to와 부정문, 의문문 만들기

*be going to 미래를 나타내는 조동사 will 외에도 또 다른 미래의 일을 나타내는 표현인 be going to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은 be going to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be going to+동사원형 be going to는 항상 [be going to+동사원형]의 형태로 쓰며, 수와 인칭에 따라 be 동사를 am, are, is로 변형하여 사용합니다. '~할 것이다.', '~할 예정이다.'라고 우리말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be going to뒤에는 반드시 동사의 원래 형태를 써줘야 합니다. 동사에 (e)s, ~ing, -ed등 아무것도 붙이지 않은 형태를 동사원형이라고 합니다. Example He eats a hamburger. 그는 햄버거를 먹는다.(현재시제) He i..

기초 영어문법 2022.08.20

미래시제 Will과 부정문, 의문문 만들기

*시제는 사건이나 행동이 일어난 때를 나타내는 법입니다. 동사는 문장의 시제를 결정할 수 있는 품사입니다. 시제라는 것은 그 일이 언제 일어났는지 , 또는 일어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시제의 기본형인 과거형, 현재형, 미래형과 이것을 진행형, 완료형, 완료 진행형으로 세분화하면 12시제가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12 시제 중 미래를 나타내는 will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will 미래시제는 앞으로 일어날 일이나 계획을 나타내는 시제입니다. 미래를 나타내는 조동사 will은 '~할 것이다'라는 뜻으로 해석합니다.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상하거나 미래의 계획을 나타낼 때 그리고 본의의 의지를 나타낼 때 씁니다. Will은 주어의 인칭과 수에 관계없이 일반 조동사처럼 항상 ..

기초 영어문법 2022.08.17

영어의 수 표현 기수와 서수 다양한 수 읽기

*기수와 서수 수를 나타내는데 기초가 되는 기수는 '하나', '둘', '셋'처럼 개수를 셀 때 쓰는 말이고, 사물의 순서를 나타내는 서수는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처럼 순서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twenty처럼 기수가 -y로 끝나는 경우에는 -y를 -ie로 바꾼 후 -th를 붙여서 서수를 만들어줍니다. 또 21부터는 일의 자리만 서수로 바꿔줍니다. *다양한 수 읽기 -숫자 숫자는 뒤에서 세 자리씩 끊어서 읽습니다. 5,034 - five thousand/ thirty four 1,345 - one thousand/ three hundred forty-five -연도 연도는 보통 두 자리씩 끊어서 읽습니다. 그런데 2000년 이후는 끊어 읽지 않고 일반 숫자처럼 연결해서 읽어줍니다. 18..

기초 영어문법 2022.08.10

의문사의 종류와 쓰임 [what+명사], [how+형용사/부사]

*의문사의 종류와 쓰임 -의문사의 의미 의문사는 문장의 맨 앞에 쓰여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무엇을' 등과 같이 구체적인 내용을 물어볼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반드시 물음에 관한 정보를 대답으로 말해야 해서 'Yes', No'로 대답할 수 없는 게 특징입니다. -의문사의 6가지 종류와 쓰임 1. who- 누가, 누구를 (사람) Who is that? 저사람은 누구니? Who do you hate? 너는 누구를 싫어하니? 2.what- 무엇이, 무엇을(사물) What is your teacher's name? 너의 선생님 이름은 무엇이니? What do you study? 너는 무엇을 공부하니? 3.when- 언제(시간, 날짜) When is your father's bi..

기초 영어문법 2022.08.07

접속사 and, but, or, so, when, before, after, because

*접속사의 의미와 쓰임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품사입니다. 접속사를 이용해서 주절에 또다른 내용을 추가할 수도 있고 앞에 나온 이야기와 비슷한 내용이나 완전히 반대되는 내용을 한 문장으로 매끄럽고 자연스럽게 연결 할 수 있습니다. -접속사를 사용할때는 서로 같은 종류의 말을 연결해야합니다. 그말은 접속사 앞뒤로 같은 품사를 사용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다른 종류의 말은 연결할 수 없습니다.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는 경우 I like pizza and coke. 나는 피자와 콜라를 좋아한다. (피자와 콜라라는 단어(명사)를 연결합니다.) I like pizza and sweet. (X) (명사인 피자와 형용사인 sweet는 접속사를 사용해서 연결 못합니다...

기초 영어문법 2022.08.03

조동사 must와 should의 의미와 쓰임

저번 시간에 이어서 조동사의 여러 종류 중에 오늘은 must와 should에 대해서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조동사는 일반동사의 뜻에 조동사의 뜻이 더해져 동사의 두 가지 의미를 한 번에 나타낼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특징은 조동사 뒤에는 반드시 동사원형 형태를 써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조동사의 개념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저번 포스팅이 도움되실 것 같습니다. * must의 의미와 쓰임 조동사 must는 동사 앞에 쓰여 '~해야 한다'라는 의무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have to+동사원형의 형태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이때 have는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 형태가 달라집니다. 시제도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Example You must keep your promise...

기초 영어문법 2022.07.29
728x90
반응형